-
과일 키위, 키위 영양성분, 키위 칼로리, 키위 효능효과카테고리 없음 2023. 10. 13. 22:11728x90
다이어트하는 중에 음식 섭취양이 줄어들다 보니 화장실을 규칙적으로 못 가게 되면서 변비 예방에 좋은 과일을 알아보던 중 말린 자두와 키위가 가장 효과가 있다는 것을 경험하게 되었습니다.
달콤 새콤한 맛도 좋고 포만감도 생기는 키위에 대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노랑빛의 큼직한 골드 키위는 첫맛은 매우 새콤하지만 씹을수록 단맛이 매우 풍부하며 먹을때마다 정말 기분 좋아지는 과일 중 하나입니다.
노릇하고 향도좋은 달콤새콤한 맛좋은 골드키위 과일 키위 먹으면 좋은 점, 효능효과다이어트를 하면서 먹는 양이 규칙적이지 않거나 가끔 간헐적 단식을 하게되면 변비가 생겨서 고생 아닌 고생이 될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마다 푸룬(prune) 주스나 말린 자두(푸룬, prune) 2-3알 또는 키위를 먹게 되는데 변비가 있을 때 가장 효과적인 게 키위 섭취인 것 같습니다.
녹색 키위도 좋지만 골드 키위, 노랑색 키위가 조금 더 당분이 많이 느껴지기 때문에 훨씬 자주 먹게 됩니다. 녹색 키위도 달지만 신맛이 조금 덜한 골드 키위를 더 자주 선택하게 됩니다.
키위는 특히 비타민 C와 식이섬유가 풍부하며, 다양한 영양소를 제공합니다. 비타민 C는 면역 체계를 강화하고 감염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키위에는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카로티노이드 등 다양한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세포 손상을 줄이고 심장 질환 및 기타 만성질환 예방 효과를 제공하고, 키위에는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들어있어서 소화 건강을 촉진하고 혈당 조절에도 도움이 되며 변비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또한, 칼륨은 혈압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중요한 미네랄입니다.
키위에는 비타민 K를 제공하여 출혈 및 혈전 질환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키위의 영양성분 함량
키위 약 100g 기준 칼로리 약 61 kcal
탄수화물 : 약 14.6g
단백질 : 약 1.1g
지방 : 약 0.5g
식이섬유 : 약 3g
당분 : 약 9.2g
비타민 C : 약 92.7mg
칼륨 : 약 312mg
비타민 E : 약 1.5 mg
칼슘 : 약 34mg
철 : 약 0.4mg
마그네슘 : 약 17mg
키위 보관 방법, 맛있는 키위 고르는 방법키위를 싱싱하게 오랫동안 맛있게 먹으려면 냉장 보관이 필요하며 너무 무른 키위는 빠르게 섭취해야 하지만 조금 덜 익은 미성 순된 키위는 개별로 각각 종이 타월이나 신문지 같은 종이로 다른 과일들과 접촉되지 않도록 포장하여 보관하면 오랫동안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습니다.
키위는 다른 과일에 비해 빠르게 익는 편이라 다른 과일들과 함께 보관할 때 서로 부딪히거나 상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서로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키위를 개별로 종이 재질로된 포장지로 감싸서 보관해야만, 습기를 조절하고 키위 표면의 물방울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거나 물방울을 흡수해 줘야 키위의 신선도 보존에 도움이 됩니다.
키위의 색상은 밝은 갈색 또는 연한 갈색이 좋으며 너무 녹색빛이면 아직 덜익은 상태이고 너무 어두운 갈색인 경우 과하게 익은 표시일 수 있습니다.
키위의 과육을 살짝 눌러서 아주 단단할때보다는 살짝 말랑하게 눌러질 때 먹으면 더 달콤합니다.
키위는 후숙과일이기 때문에 단단한 키위를 구매하여 냉장 보관하면서 손으로 살짝 눌러서 말랑하게 익었을 때 먹으면 좋습니다.
키위는 겉 끝 부분이 푸석하고 상처가 없어야하며 신선하면서, 고당도 일 수록 무게감이 있어야 합니다. 키위의 껍질이 더 얇은 것이 더 달고 익은 것이며 냉장보관을 오래 하면서 먹으려면 조금 덜 익은 키위를 선택하여 개별 포장 후 냉장보관하여 숙성 후 먹을 수 있습니다.
키위는 보통은 봄과 가을에 가장 신선하므로 해당 계절에 구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겉 껍질을 제거한 골드 키위, 그린 키위를 함께 섞어서 각종 야채와 블루베리 등을 샐러드로 같이 먹으면 별도의 소스, 드레싱 없이도 풍부한 맛과 향을 맛볼 수 있는 훌륭한 샐러드가 됩니다.
과일을 너무도 애정하는 한 사람으로서 골드 키위, 그린 키위, 레드 키위는 다양한 색과 향과 맛을 즐길 수 있어서 자주 애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