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어, 칼로리 영양 성분 효능효과카테고리 없음 2023. 10. 8. 18:52728x90
둥그런 모양의 머리와 두 개의 눈과 8개의 다리를 가진 연체동물인 문어에 대해 알아봅니다. 크기는 크지 않지만 작은 문어가 몇 마리 생기게 되어 쫄깃하고 고소한 식감의 삶은 문어에 대해 다이어트 시 활용하기 괜찮은지 영양 성분은 어떤지 문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합니다.
추가 양념 없이 단순하게 삶아서 삼삼하게 먹을 수 있는 문어는 씹을수록 고소한 맛이 납니다. 비슷한 연체동물인 오징어나 낙지와는 또 다른 식감과 맛이 있습니다.
쫄깃하고 짭짤 고소한 삶은문어 문어 영양성분 칼로리 영양성분 알아보기문어의 종류, 크기, 조리할 때 사용되는 재료와 양념 조리 방법 등에 따라 칼로리와 영양성분의 함량은 변화될 다를 수 있습니다.
문어 100g 기준 칼로리는 약 70-100 kcal (칼로리)
단백질 : 약 15-20g
지방 : 약 1-2g
탄수화물 : 거의 없음 (약 0g)
니아신 (비타민 B3) : 약 2-4mg
아연 : 약 1-2mg
철 : 약 1-2mg
칼슘 : 약 10-20mg
오메가-3 지방산 (EPA와 DHA) : 약 300-600mg
문어를 간단히 먹기 위해 살짝 삶아서 아무런 소스나 양념 추가 없이 삶은 그대로 섭취하였습니다.
문어를 삶을 때에는 씻기 전 깨끗하게 세척하고 내장을 제거한 후 내장 주위를 깨끗이 세척해야 합니다.
물이 끓을 때 소금을 약간 넣어 끓이면 문어의 신선도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문어를 오래 삶으면 너무 질겨지거나 식감이 안 좋아질 수 있으니 문어의 살이 투명하지 않고 흰색으로 변할 때까지
삶으면 됩니다.
삶은 후 빠르게 찬물에 담갔다가 흐르는 물에 식힌 후 냉장 보관하거나 신선한 상태에서 요리 후 섭취합니다.
삶거나 말린 문어로 국물도 내고 차례상, 혼례상, 생일상 등에 올려질 만큼 귀한 식자재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문어는 다양한 영양성분과 다양한 효능효과가 들어있습니다.
단백질문어는 높은 단백질 함유량을 가지고 있으며 단백질은 근육 건강과 성장에 필수적인 영양분으로 다이어트 시에도 단백질 섭취를 늘릴 수 있는 식재료입니다.
미네랄문어는 다양한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별히 철분, 아연, 인, 칼슘 등이 있어서 뼈 건강, 혈액 형성, 면역 체계 유지에 도울을 줄 수 있으며, 문어는 비타민 B12와 니아신 같은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비타민 B12는 빈혈 예방과 신경 기능을 지원하는 데 도움을 주며 니아신은 신체 대사에 필요한 비타민입니다.
오메가-3 지방산
문어는 오메가-3 지방산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서 이러한 지방산은 심혈관 건강에 도움을 주고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로 염증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오메가-3 지방산은 혈관 벽을 강화하고 혈압을 조절하는데 도움을 주며 심장 질환과 관련된 위험을 감소시키고 심장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오메가-3 지방산은 뇌 건강과 인지 기능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고 특히 EPA (에이코사펜타엔산, 100g 당 약 300-600mg 함유)과 DHA (도코사헥사엔산, 100g 당 약 300-600mg 함유)는 뇌세포 막의 구성 요소이며 뇌 기능, 눈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비교적 작은 양의 문어 섭취로도 오메가-3 지방산을 몸에 섭취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문어는 저 칼로리 식품 중 하나로 다이어트나 체중 관리를 위한 식단으로도 활용이 가능합니다.문어는 눈의 투명도가 높고 흰색이어야하며 눈 부분이 탁하면 신선도가 떨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겉 부분에 윤기와 광택이 있는 것을 선택하는 게 좋습니다.
문어는 얇게 저며서 살짝만 삶아서 간편히 먹기에 좋아서 간단한 주류 안주감으로도 좋고 샐러드에 추가하거나 찌개 등에 넣어 국물 맛을 내기에도 좋은 음식입니다.
너무 두껍게 썰거나 다리 통째로 먹기에는 씹는 식감이 질기게 느껴질 수 있으며 너무 많은 양을 한꺼번에 먹게 되는 경우 소화 시간이 너무 길어져 거북할 수 있습니다.
문어, 오징어, 낙지, 연어 등 저칼로리이면서 해산물에 많이 함유된 오메가-3 지방산과 단백질 섭취에 도움을 받고 영양까지 챙기며 다이어트 식단에 추가하여 체중 관리에 도움받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